인프런/쉽게 설명 AWS 기초

기초지식 - Network 계층

study_recode 2025. 3. 11. 23:08

네트워크 계층

  • 여러 노드의 경로를 찾고 올바르게 전달 될 수 있는 기능과 수단을 정의
  • 주요 단위 : 패킷
  • 주요 구성 요소 - 라우터, IP, ARP
  • 주요 특징
    • 서로 떨어진 로컬 네트워크간의 통신 지원  
    • Network 간의 -> Inter Network -> Internet
    • 중간중간 노드들을 거쳐서 목적지 까지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

 

IP Address

  • Internet Protocol상에서 통신 주체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
  • 두 가지 종류
    • IPv4 
    • IPv6
IPv4  IPv6

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(CIDR)

  • IP는 주소의 영역을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누기 위해 IP를 묶는 방식
  • 여러 개의 사설망을 구축하기 위해 망을 나누는 방법

CIDR Notation

  • IP 주소의 집합
  •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
  • 각 호스트 주소 숫자 만큼의 아이피를 가진 네트워크 망 형성 가능
  • A.B.C.D/E 형식

CIDR Block

  • 호스트 주소 비트만큼 IP 주소를 보유 가능 

서브넷 마스크

송신자
+---------------+
|  네트워크 계층  |
|  (IP 주소 기반)  |
+---------------+
       ↓
+---------------+
| 데이터 링크 계층 |
|  (MAC 주소 기반)  |
+---------------+
       ↓
+---------------+
|    물리 계층    |
|  (비트 스트림)    |
+---------------+
       ↓
물리적 매체 (케이블, 무선 등)
       ↓
수신자

+---------------+
|    물리 계층    |
|  (비트 스트림)    |
+---------------+
        ↓
+---------------+
| 데이터 링크 계층 |
|  (MAC 주소 기반)  |
+---------------+
        ↓
+---------------+
|  네트워크 계층  |
|  (IP 주소 기반)  |
+---------------+

송신자 측

  1. 네트워크 계층 (Layer 3):
    • 패킷 생성: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하고,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를 부여합니다.
    • 라우팅: 패킷을 다음 홉으로 전송합니다.
  2.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:
    • 프레임 생성: 패킷을 프레임으로 변환하고, 출발지와 목적지 MAC 주소를 부여합니다.
    • 오류 검사 및 복구: 프레임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복구합니다.
  3. 물리 계층 (Layer 1):
    • 비트 전송: 프레임을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송합니다.

수신자 측

  1. 물리 계층 (Layer 1):
    • 비트 수신: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합니다.
  2.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:
    • 프레임 복원: 비트 스트림을 프레임으로 복원하고, 오류 검사를 수행합니다.
    • MAC 주소 확인: 프레임의 MAC 주소를 확인하여 수신 여부를 결정합니다.
  3. 네트워크 계층 (Layer 3):
    • 패킷 복원: 프레임을 패킷으로 복원하고, IP 주소를 확인하여 목적지 여부를 판단합니다.
    • 라우팅: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확인하고, 추가 라우팅이 필요하면 수행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