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용어
- 독체자(獨體字) :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한 개의 형(形)으로 구성된 글자
- 합체자(合體字) :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‘형’이 합쳐져 이루어진 글자
- 쌍음절어 : 두 음절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단어. 병렬구조, 수식구조, 술목구조, 주술구조로 구분 가능
한자의 구성원리와 특성
- 형
- 음
- 의


- 독체자 : 한 개의 형으로 구성된 한자
- 상형자 : 사물의 모형을 본떠 만든 글자
- 지시자 : 상징적인 부호를 통해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글자
- 합체자 :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형이 합쳐진 글자
- 회의자 : 의미와 의미부분을 합하여 만든 글자
- 형성자 : 의미와 소리부분을 합하여 만든 글자




독음 차용법 : 가차
- 독음을 빌려 쓰는 한자
- 본래 그를 뜻하는 한자가 없어서, 비슷한 소리가 나는 글자에 의탁하여 대신하는 것
- 외래어, 의성어, 의테어에 주로 쓰임
전주
- 한자는 하나인데 의미가 다양함.
- 의미마다 다른 소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

한자의 구성원리를 육서라고 한다. 한자를 만드는 방법, 한자를 사용하는 방법
한자의 기본 구조
- 단음절어 - 한문에서는 단음절어가 절대적 우세를 차지
- 다의성 - 한 글자가 여러 의미를 나타냄
- 신축성 - 한 글자가 나타내는 의미가 포괄적임
- 단어조성 기능-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기능
- 쌍음절어 구조
- 병렬구조
- 대립관계
- 대등관계
- 유사관계
- 수식구조
- 관형어 수식구조(형용사 - 명사)
- 부사어 수식구조(부사 - 동사)
- 술목구조 (동사 + 목적어)
- 주술구조 ( 주어 + 동사)
- 병렬구조


정리하기
- 한자는 형(形)·음(音)·의(義)의 기본 요소로 구성된다.
- 한자는 자형 구성 원리에 따라 상형, 지사, 회의, 형성으로 나뉘며, 한자를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전주, 가차가 있다.
- 한자는 병렬, 수식, 술목, 주술의 기본 구조를 구성된다.
- 기본 필순을 통해 한자 자형을 반듯하게 표기할 수 있다.